홈
상생의 세상
상생지기
원정 낙서
도서관
무료법률상담
공지사항
login
도서관
전체 목록
지구촌 소식
음식 상식
대안의학
재테크
음식 상식
왜 감옥 가면 콩밥 주나
6
03-08-23
웃음
1,507
요새도 교도소에서 콩밥을 주는지는 모르겠지만
'콩밥 먹는다' 하면 '감옥 간다' 가 연상될 정도로
콩밥은 감옥에서의 주식이었다.
그러면 왜 교도소에서는 콩밥을 주었을까? 바로 영양 때문이다.
여건상 여러 종류의 음식을 제공할 수 없고,
극히 제한된 공간에서 체력을 유지 하려면
콩밥이 최상의 해결책이었다.
'밭에서 나는 고기' 로 불리는 콩은 예부터 우리 식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두류는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으로 씨껍질(종피)이 단단해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다.
콩의 종류 중 밥에 넣어 지어 먹는 대두는 단백질 및 유지의 젖줄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량이 적어 고기를 대신하는
식물성 단백질로 대두가 많이 이용돼 왔다.
선조들은 콩을 가공해 두부, 유부, 된장, 간장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만들었다.
대두는 식용 유지의 원료로도 중요하다.
콩은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고 비타민도 비교적 많으므로 이들 성분의 중요한 급원 식품이다.
생콩은 섬유 및 펙틴질이 많아 조직이 단단해서 거의 소화되지 않으나
가공하면 소화율이 좋아진다.
간장의 소화율은 98%, 두부는 95%, 된장은 85%이다.
콩기름은 비타민E가 100mg% 가량이나 들어 있어 피부 미용과 노화 방지에 좋다.
콩에는 비타민B군이 가장 많고 비타민 A와 D도 들어 있으나 비타민C는 거의 없다.
콩류는 대두, 땅콩같이 지방질이 많은 반면 탄수화물이 적은 것과
팥, 녹두, 완두, 강낭콩처럼 지방이 적고 대신 탄수화물이 많은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단백질 함량과 소화율을 가지고 인체에 소화 흡수되는 단백질 양을 계산하면
대두는 우유의 11배에 달하고 지방도 3배나 많다.
앞서 말했듯 콩은 그 조직이 단단하여 여러 가공법으로 소화율을 높이고 있다.
조직을 연하게 한 것으로 두부나 두유 등을 들 수 있고,
대두 단백질을 분해한 간장 , 된장 등의 발효 식품도 있다.
강낭콩은 성숙하기 전에 채소나 곡류의 혼식 재료로 이용되기도 하며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처럼 싹을 내어 우리의 기호에 맞는 부식으로 만들기도 한다.
한편 전분질이 믾은 팥, 완두, 녹두 등은 떡이나 과자의 소, 묵, 양갱, 혼식용 등으로 쓰인다.
알갱이 색은 백색(흰콩), 갈황색(누런콩), 담록색(푸른콩, 청태), 갈색(밤콩), 흑색(검정콩, 흑태)등이 있고
두가지 이상의 색이 있는 것으로는 우렁콩(청록색 바ㅣ탕에 검정 반점), 선비재비콩, 매알콩, 아주까리콩 등이 있다.
그 중 흑태, 즉 검정 콩에는 흰쌀을 먹는 사람에게 부족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여러 효소나 특수 성분도 많이 들어 있어 혈관을 젊게 유지해 주고 혈액도 정화시켜 준다.
영양학적 관점에서 콩은 동백경화를 예방하는 유일한 단백질 식품이다.
콩단백질은 혈중 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지방, 단백질, 콜레스테롤, 증성지방을 감소시킨다.
콩단백질에는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 저해 인자인 트립신 저해제와 피트산,
화이토스테롤, 사포닌, 이소플라본 등ㅇ이 있는데 이런 물질은
항암작용을 한다.
트립신 저해제는 인슐린의 분비를 증가시켜 당뇨병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에는 다량의 섬유성 물질이 있어 대장 운동을 원할하게 하고 콜레스테롤을 제거한다.
콩지질의 1~2%를 차지하는 레시틴은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독특한 유화 기능으로 인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 주며 동시에 중성지질을 감소 시킨다.
총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혈청지질에 대해서도 효과를 나타낸다.
레시틴은 콜레스테롤 용해 작용 외에도 세포의 활성화 작용, 뇌 기능 향상과
노인성 치매의 방지 등 중요한 효능도 있다.
콩에 들어 있는 사포닌은 기포성 물질로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세포에서 끊임없이 생성되는 과산화지질의 형성을 억제한다.
이소플라본은 골다공증과 유방암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처럼 콩 속에 있는 영양소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영양 장매물로 치부되어 온 성분까지 모두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는 물질로 재인식되고 있다.
출처: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음식상식 백가지 / 한영실 교수
목록
댓글쓰기
03-08-24
원정
제가 두부를 참 좋아했는데요.
제사지내면 두부는 제 차지 였거든요. 어렸을 때.....
지금도 두부를 좋아하는 편입니다.
03-08-24
바람
삭제
수정
저하고 식성이 같군요. 저는 두부,비지,청국장,계란,호박 등을 제일 좋아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것을 아무리 먹어도 도대체 살은 안찝니다. 도무지 구제불능이지요
03-08-24
샛별
삭제
수정
저는 콩밥은 안먹고,콩국은 먹어요^^
팥밥은 안먹고 팥죽은 먹어요.
밥에 들어가면 다 안먹음,고를수
있도록 하고 골라 먹어요^^*윽~따가운 시선^^*
03-08-25
웃음
샛별님. 그럼 밥에다 콩을 넣지 말고
콩에다 쌀을 넣어 지으보면 어때요?^^
그럼 혹시 알아요? 밥은 골라내고 콩만 먹게될지...^^
건강관리사 교육을 받는데 강사가 그러더군요.
병원에서 의사가 처방해주는 약은 독 이기도 한데
그건 꼬박꼬박 챙겨먹으면서
"당신은 매일 하루 콩 한 숟가락과 마늘 여섯쪽 두부 반모를 드셔야 합니다."
이렇게 말하면 듣는 사람 거의 없다고.
좋은 음식, 바르게 먹는 방법으로 질병을 예방도 하고 치료도 할 수 있는데 말입니다.
지구상에 모든 음식 재료가 다 사라지고 오직 한가지만 남겨두겠다 하면
그 한가지는 '콩' 이어야 한다고 합니다.
골라내지 마세요.^^
03-08-26
샛별
삭제
수정
콩에다가 쌀을 넣어두 콩을 고르면 되징^^
진짜 맞이 없어요,그런데 먹을려고 했어요.
콩만 골라서 얼른 씹기.
으~~맞이 없는걸 어쩌나 하면서죠.
그래도 비실 거리니깐 먹을려고 해요.
웃음님 얘길 들으니 정말 먹어야겠땅.
아님 비지찌개를 먹던가 된장찌개를 먹던가죠^^
03-08-26
웃음
그야말로 굶기를 밥 먹듯 한 적이 있었습니다.
가능하면 빨리 죽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때에.
그리고 한참을 밥은 그저 주린 배의 한때를 '떼우는 것'에 지나지 않았는데
요즘은 정말 사람 되어 갑니다.^^
식사는 내 몸에 필요한 영양을 주기 위해 하는 것 이라고 생각해야한다고 배우고 있는 중이라..^^
미운놈이랑 정들려면 자꾸 부딪쳐봐야 하는건데
콩이랑 한번 놀아보세요
꼭 콩 만이 아니라 먹고 싶지 않은 많은 것들이랑요.
"애, 넌 왜 그렇게 맛이 없니...?"
그렇게 물어보면 걔도 뭐라고 대꾸를 할텐데...^^
사랑해 주면 이뻐지잖아요.
'너 맛있어!' 이러면 걔가 진짜 맛있어 진대요.^^
샛별님 몸을 통해 천화 하고 싶은 놈들에게 기회를 주세요.
콩이 된 웃음의 이바구 입니다.^^
댓글쓰기
댓글 등록
03-08-27
지구인
지구¨
[폴러첸 단독 인터뷰] 우리행사는 북한정부 '도발' 목적
0
1,010
03-08-23
웃음
음식¨
왜 감옥 가면 콩밥 주나
6
1,508
03-09-26
원정
음식¨
[re] 왜 감옥 가면 콩밥 주나
0
1,335
03-08-16
원정
지구¨
"각국 평화 연대로 미 전쟁시스템 막아내자" /프레시안
0
997
03-08-10
원정
지구¨
“부시 뒷다리만 잡고 가면 패망할텐데"
0
961
03-08-09
바람
대안¨
마무리 하면서
0
1,454
N
03-08-08
바람
대안¨
암환자의 양자의학의 치료 실제
0
1,656
N
03-08-07
바람
대안¨
양자의학 전문병원과 그 시스템
0
1,683
N
03-08-07
바람
대안¨
새로운 개념에 의한 새로운 의료기기의 제작
0
1,240
N
03-08-07
바람
대안¨
의학의 주요한 개념들의 재 정의
0
1,679
N
03-08-06
바람
대안¨
양자의학에서 질병의 치료
0
1,382
N
03-08-06
민주
대안¨
대체의학과 현대의학
1
1,196
03-08-06
바람
대안¨
양자의학에서 질병의 진단
0
1,207
N
03-08-06
바람
대안¨
양자의학에서 질병의 원인
0
1,202
N
03-08-05
바람
대안¨
양자의학에서 심성의학이란?
0
1,313
N
11
12
13
14
15
16
17
18
19
16
17
18
19
목록
Copyright © 相生의 世上 All rights reserved.